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8.3℃
  • 맑음강릉 13.1℃
  • 맑음서울 10.0℃
  • 구름조금대전 8.9℃
  • 흐림대구 13.8℃
  • 흐림울산 15.6℃
  • 흐림광주 10.2℃
  • 흐림부산 16.5℃
  • 구름많음고창 7.6℃
  • 흐림제주 13.7℃
  • 맑음강화 8.6℃
  • 구름조금보은 7.1℃
  • 구름많음금산 8.1℃
  • 흐림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14.9℃
  • 흐림거제 15.7℃
기상청 제공

시선I

[기고]익산소재 아파트 화재 시 이렇게 했더라면...

- 무조건 대피 NO!, 불나면 살면서 대피 YES!

현재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78%는 아파트를 비롯해 연립주택, 다세대주택과 같이 여러 가구가 모여 사는 공동주택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가운데 아파트의 비중이 80%를 넘어서고 있다. 국민 대다수가 거주하는 생활공간인 아파트는 구조적‧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시설보다 화재 위험성이 높고 대피 안전성은 취약한 상황이다.

 

지난 4일과 5일 연달아 익산시 소재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두 건의 화재사고 피해자 대다수가 고령의 노인층으로 다수의 주민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대피하는 과정에서 연기를 흡입하거나 넘어지면서 부상 당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아파트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피해가 생길 확률이 매우 높다.

 

겨울철을 맞이하면서 무분별한 난방기기 사용과 주방용품 사용 부주의 등으로 아파트 화재가 빈번해지고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베란다 문을 닫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파악하기가 어려워 대피 시간이 지연되며 계단 및 승강기를 통한 연기 확산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아파트 화재 시 인명피해는 대피 중 또는 화재진압 중에 많이 일어나는 만큼 무조건적인 대피는 위험하며, 화재 상황 등을 판단해 올바르게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집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현관을 통해 대피할 수 있으면 계단을 이용해 젖은 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지상층이나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만약 현관 입구 등에서의 화재로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피 공간이나 경량 칸막이 등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해 대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다른 세대나 복도, 주차장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는 본인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세대 내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하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는 것이 좋다. 

 

그러나 집으로 화염 또는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면 집에서 불이 났을 때와 같이 대피공간으로 이동하는 등 상황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아파트는 다른 층으로 연소가 확대되는 경우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피하는 도중에 연기 질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실내에 연기가 들어오지 않을 때는 무조건적인 대피보다는 실내에 대기하면서 창문 등 연기 유입통로를 막고,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하는 편이 더 안전하기 때문이다. 

 

화재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동참해 아파트 환경에 맞게 상황별로 어디로 어떻게 대피할 것 인지 계획을 세우고 대피경로를 작성 하고 공유하여 숙지해야 한다.

 

실제 상황은 계획대로 되지 않을 것이나, 사전에 계획도 세워보지 않으면 실제 상황에서 공황에 빠져 대피 시간을 놓치거나 잘못된 판단으로 생존을 위협받게 된다. 스스로 지속적인 관심과 훈련을 통해 가족들의 안전과 소중한 재산을 화재로부터 지킬 수 있기를 바란다.

 

    -진안소방서 소방장 신나리-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소방차 지나가면 신호 바뀐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 전면 확대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본부장 이오숙)는 24일 전주시와 군산시 관할 소방차량을 대상으로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 운영 차량을 전면 확대했다고 밝혔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은 지능형교통체계시스템(ITS)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것으로, 심정지 등 위급환자 이송이나 화재·구조 현장 출동 시 소방차량이 교차로에 접근하면 신호를 자동으로 제어해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도내 지능형교통체계시스템(ITS)은 전주, 군산, 익산, 정읍 4개 시에 도입되어 있으며, 이번 확대를 통해 전주시와 군산시의 모든 지휘차, 구급차, 구조공작차 등 주요 출동 차량이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게 됐다. 전주시는 2023년부터 지휘차 2대와 구급차 5대 등 총 7대의 차량에 시스템을 운영해왔으며, 이번에 구급차 7대와 구조공작차 2대를 추가해 총 16대로 확대했다. 군산시도 같은 기간 지휘차 1대와 구급차 14대를 운영해왔고, 이번에 구조공작차 1대를 추가해 전주시와 동일하게 총 16대의 소방차량이 시스템을 활용하게 됐다. 이번 운영 확대는 전주시청과 군산시청, 전주완산경찰서·덕진경찰서, 군산경찰서 등 유관기관의 적극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