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사회고령화, 전북에 고령친화산업 육성하자

고령친화식품·고령친화화장품·고령친화콘텐츠,·고령친화힐링 4대 전북 최적지

 

 

 

사회 고령화에 따른 시니어 시프트 시대를 맞아 전북에 고령친화산업을 육성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원장 김선기)은 15일 이슈브리핑(222호)을 통해 전북의 강점을 활용해 고령친화식품, 고령친화화장품, 고령친화콘텐츠, 고령친화힐링 등의 분야를 육성하고 시니어 시프트(Senior shift) 시대를 선점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발표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쯤 고령인구의 비율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를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소비와 여가를 즐기는 활동적 고령자(Active senior)가 증가되면서 시니어 시프트(Senior shift), 욜드(YOLD : Young Old) 등의 신조어가 등장하면서 고령자 중심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고령친화산업이 연평균 13%씩 고성장 할 것이라고 발표한바 있으며, 문재인 정부도 올해 중으로 ‘고령친화산업 육성방안’을 수립하여 발표 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지훈 박사는 전북이 고성장하는 고령친화산업의 연구개발과 테스트, 사업화의 최적지로 향후 추진 할 정부정책에 미리 준비하여 전북발전의 대도약적 전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은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남원 노암 화장품 집적화단지, 순창 쉴랜드 관광휴양촌 등 시니어 시프트를 위한 생산·서비스의 거점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한국식품연구원,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전라북도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 홀로그램 콘텐츠서비스지원센터 등도 집적화되어 있다. 따라서 전북은 고령친화식품, 고령친화화장품, 고령친화콘텐츠, 고령친화힐링 등 4대 분야의 특화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고령친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익산과 완주․전주를 고령친화 식품 연구과 생산, 소비자 테스트로 특화하고, 고령자의 도시에 대한 계속거주 욕구(Ageing in place)를 활용하여 전주․익산을 중심으로 고령친화 콘텐츠를 산업화하자는 의견이다. 또한 동부권은 고령친화 식품․화장품에 필요한 천연소재의 발굴과 재배, 자연환경과 연계된 고령친화힐링으로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시니어 시프트시대에 소외받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저렴하게 개발하고 지원하기 위한 공공형 고령친화지원센터, 고령자의 편안한 생활여건을 제공하면서 고령친화제품의 보급시장을 만들 고령친화형 도시재생,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과 연계된 고령친화라이프 빅데이터 구축, 고령친화 제품·서비스의 창업 지원체계 등의 기반도 조성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박사는 “전북의 초고령사회 진입은 국가보다 빠른 올해가 될 전망이다”며, “지역의 고령인구 증가로 부양에 대한 부담도 커지지만, 산업경제 측면에서는 거대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보다 일찍 전북에 찾아왔다며 이를 도내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이 잘 활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도, 1,215억 규모 벤처펀드 조성…3개 운용사 최종 선정
전북특별자치도가 도내 벤처기업의 성장을 견인할 대규모 펀드 조성에 나섰다. 도는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개최한 전북 벤처투자위원회를 통해 ‘2025년 제2차 전북 혁신성공 벤처펀드’ 출자사업의 운용사 3곳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선정된 운용사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에 ‘인라이트벤처스’, ▲창업벤처(엔젤투자) 분야에 ‘안다아시아벤처스·KB증권 컨소시엄’, ▲산업기술혁신 분야에 ‘JB인베스트먼트’다. 이들 운용사는 전북자치도의 출자금 95억 원과 민간자금을 합쳐 총 1,215억 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하게 된다. 이번 출자사업은 민선 8기 핵심 투자정책 중 하나로,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지역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자금난을 겪는 유망 기업에 실질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히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선정된 인라이트벤처스는 총 565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이 중 100억 원 이상을 전북 소재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정읍시 기업에도 20억 원 이상을 배정하며, 새만금 산업단지,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 등과 연계한 투자전략이 강점으로 평가됐다. 창업 초기 기업 대상 엔젤투자 분야에서는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