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북도, 여행업계에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

전북 여행업, 민생회복지원금으로 힘을 내요!

▶ 1월 14일부터 업체당 80만 원씩, 577개 여행사 지원

▶코로나19로 피해가 심각하지만 정부 손실보상제에 제외된 여행업계의 경영회복과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금 지급

 

전라북도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여행업계에 힘을 싣어 주고자 민생회복 지원금을 지급한다.

 

11일 전북도는 「여행업계 민생회복 지원금」을 마련해 14일부터도내 여행사에 80만 원씩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영난을 겪고 있지만, 정부의 손실보상 대상에서 제외돼 지원 사각지대에 있는 여행업계의 경영회복과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다.

 

지원대상은 2021년 12월 31일 기준 도내에 여행업으로 등록된 577개 업체다. 신청 당시 휴‧폐업 상태인 업체는 제외된다.

 

지원금 신청기간은 1월 14일부터 3월 31일까지다. 여행업 등록 시군 관광부서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부서의 서류검토를 거쳐 계좌 입금 및 지역 상품권 등의 방법으로 지원금을 지급한다.

 

신청서류는 여행업체 민생회복지원금 신청서, 관광사업 등록증(여행업) 사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통장 사본, 개인정보 동의서 등이다. 세부 업종 기준은 종합여행업, 국내외여행업, 국내여행업이고 중복 등록한 업체인 경우 1개 업체만 지원한다.

 

전북도는 지원금 신청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홍보를 다양화하고 설 명절 전에 민생회복지원금이 신속히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관광산업이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코로나 19로 인한 국가간, 지역간 이동의 규제와 정부 방역대책으로 인해 여행에 대한 수요가 줄면서 큰 타격을 입은 여행업계는 이번 지원금으로 조금이나마 업계에 온기가 돌기를 기대하고 있다.

 

전라북도 윤동욱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버티기 어려운 상황임에도 국민 안전을 위한 정부 방역지침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힘든 시간을 감내했다.“고 밝히며 여행업계에 고마움과 안타까움을 전했다.

 

아울러 ”여행업계 민생회복 지원금이 경영난에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여행업 종사자분들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베트남 학생 18명, 내년 3월 전북 고교 입학
베트남 고등학생들의 전북 고등학교 입학이 가시화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2026학년도 직업계고 외국인 유학생 선발을 위해 9~10일 베트남 현지에서 1차 선발 심사를 실시했다. 선발 심사는 직업계고 외국인 유학생 선도학교 교장 등 10여 명이 베트남 교육훈련부 국제교육개발센터(CIED)를 방문해 서류 및 면접 심사로 진행했다. 앞서 CIED는 지난 6월 30일까지 유학생 모집 및 접수를 완료하고, 총 48명의 지원자 중 25명을 전북교육청에 추천했다. 전북교육청은 이들을 대상으로 1차 심사를 진행해 18명을 최종 선발했다. 선발된 학생들은 입학 전까지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어 및 한국 생활문화 교육’에 참여한 뒤 오는 11월 중 2026학년도 고등학교 입학전형 일정에 따라 원서 접수와 최종 면접을 거쳐 입학을 확정하게 된다. 입학 대상 학교는 도내 직업계고 외국인 유학생 선도학교인 △글로벌학산고 제과제빵과·글로벌외식조리과·헤어미용과 △전주공업고 기계과·전기과·자동차과 △줄포자동차공업고 미래자동차과다. 문형심 창의인재교육과장은 “외국인 유학생 선발은 전북교육청과 베트남 교육훈련부 간의 실질적인 교육 협력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직업계고의 국제 경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