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학부모·교직원 79.5% “학생중심 미래교육 공감”

- 2024년 전북교육정책 만족도 조사 실시… 학부모 4033명 등 총 9236명 참여

향후 강화해야 할 정책으로는 기초학력 향상, 학생 맞춤형 학습지원 등 꼽아

- 전북교육청 “학력신장 등 학생중심 미래교육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

 

 

전북 학부모와 교직원 10명 중 8명은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의 정책 기조인 ‘학생중심 미래교육’에 대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교육청미래교육연구원미래교육정책연구소(소장 한숙경)는 지난달 3~11일 학부모 4,033명과 교직원 2,045명 등 총 6,0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전북 교육정책 만족도 조사’에서 ‘전북교육의 정책 기조인 학생중심 미래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9.5%가 ‘매우 동의한다’거나 ‘동의한다’고 답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6월 전북교육 대전환 2주년을 맞아 실시한 ‘전북교육청 교육정책 인식 조사’에서는 학부모와 교직원의 76.6%가 학생중심 미래교육에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6개월 사이에 공감 의견이 2.9%p 상승한 것이다.

 

‘학력신장, 미래교육 환경 구축, 학생 인권과 교원 보호, 학생 해외연수, 전북에듀페이 지급 등 전북교육 대전환을 위한 주요 정책 방향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28.4%가 ‘매우 잘하고 있다’고, 41.1%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북 교육력 향상을 위해 향후 가장 중점적으로 확대·강화해야 하는 정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1순위에서 기초학력 향상(34.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학생 맞춤형 학습지원(16.5%), 교사 교육활동 보호(10.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과 달리 이번에는 학생(3158명) 대상 설문조사도 실시됐다. ‘전북교육의 정책 기조인 학생중심 미래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학생 응답자의 70%가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학교생활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는 70.8%가 ‘그렇다’고 답했다.

 

서거석 교육감은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 교육가족을 대상으로 정책 만족도를 조사·분석하고, 교육정책 수립에 반영하기 위해 교육정책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이번 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학력신장에 대한 열망이 높은 만큼 관련 정책들을 적극 수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특별법 특례로 ‘어업잠수사’ 활용 수산자원 포획 전국최초 시범시행
전북특별자치도가 전국 최초로 ‘어업잠수사’를 활용한 마을어장 수산자원 포획·채취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어업인들이 수년간 제기해온 현장 수요를 제도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전북특별법’에 따른 특례 적용을 통해 실현된 사례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난 3월부터 군산‧부안 해역을 중심으로 시행 중이며, 어업잠수사를 투입해 새로운 포획 방식의 효과성과 경제성을 검증하고 있다. 정착성 수산동물인 해삼, 전복 등은 바닥이나 암반에 붙어 있어 채취를 위해 잠수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수산업법상 포획은 해녀(나잠)나 잠수기 어선을 통해서만 가능해 인력 확보가 어렵고 임차 비용이 과도한 실정이었다. 이로 인해 어촌계에서는 마을어장 운영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지속돼 왔다. 전북자치도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2011년부터 해양수산부에 관련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으며, 2016년과 2017년에는 스킨스쿠버를 활용한 시험어업도 시행한 바 있다. 이후 2023년 「전북특별법」 제87조(수산종자산업 및 수산업 육성 특례)에 어업잠수사 활용 근거를 마련했고, 2024년에는 『전북특별자치도 시험어업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시행하여 도지사 승인만으로도 시험어업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