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전북도-GR 그룹 아시아, 외국기업 유치촉진 업무협약체결

○ 도, 새만금 투자진흥지구 지정 등 해외투자·기업 유치 확대 일환

○ GR그룹 아시아 기업네트워크·경험 활용한 협력체계 구축

○ 김관영 도지사, “전북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업유치에 기여해달라”

 

 

전북도가 해외기업의 투자유치를 확대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 공공정책 전문 컨설팅사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전북도는 11일 도청 회의실에서 김관영 도지사와 야콥 에드버그 GR그룹 아시아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외기업 투자유치 협력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전북의 투자 환경 등 정확한 정보를 기업에 제공함으로써 외국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양 기관이 구체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GR그룹 아시아는 워싱턴 D.C에 본사를 둔 동북아시아 공공정책 컨설팅 기업으로, 서울, 도쿄, 런던, 싱가포르 등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에너지, 제약바이오, IT, 식품, 관광 등 다양한 섹터의 글로벌 기업들을 고객사로 두고 현지 사업 환경 분석 및 정부 협업 기회 발굴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해외기업의 투자 문의시, 전라북도에 관련 회사 소개 및 미팅 조율 등 전라북도의 투자유치를 위한 협력, ▲전라북도의 해외 기업 유치를 위한 자문, ▲상호간의 소통 및 각종 네트워크를 활용한 교류 및 협력 등이다.

 

전북도가 이번에 글로벌 공공정책 컨설팅회사와 업무협약을 맺은 것은 새만금 투자진흥지구 지정 이후 외국기업의 국내 유치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위함이다.

 

새만금 투자진흥지구는 새만금 사업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된 투자진흥지구는 새만금 국가산업단지 입주 기업의 법인세·소득세 감면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일종의 경제특구로, 올 4월 종료된 군산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에 따른 법인세 감면 혜택을 이어갈 수 있게 돼 새만금 투자를 결정하는 기업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인 혜택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김관영 지사는 “많은 외국기업들이 한국에 투자하고 싶어 하지만 마땅한 부지가 없거나 촘촘한 규제로 망설이고 있다”면서,“그러나 전북은 다르다. 새만금은 공항, 항만, 철도 등 트라이포트가 완성돼 가고 있고, 세계적 흐름인 탄소 배출 제로(Carbon Free 100%)의 국내 최적지이며”, 또한 “타지역보다 인허가 처리기간이 짧고, 이차전지 특화단지 등 친환경 자동차 산업의 메카로 급부상 하고 있어 외국기업들에게 전북은 기회의 땅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전북도의 100년 먹거리산업에 필요한 기업을 위해 전폭적인 지지와 적극적인 자문을 통해 고부가가치 기업유치에 기여해 달라”고 덧붙였다.

 

야콥 에드버그 회장 역시 “전북은 기업들이 마음 놓고 투자 할 수 있는 환상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다”며, “투자 의향이 있는 기업들에게 전북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알려 전북의 기업유치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일자리정책도 협치… 전북도, 대표협의회 통해 맞춤 전략 논의
전북자치도의 산·학·연·관 일자리 협력 거버넌스가 대표협의회를 열고 본격적인 협력 강화와 정책 방향 모색에 나섰다. 전북특별자치도는 3일 전주 더메이 호텔에서 청년 인구 유출, 고용환경 변화 등 지역 현안에 대한 맞춤형 정책 대응 전략을 공유하고, 실질적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2025년 전북특별자치도 일자리 거버넌스 대표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를 비롯해 전세희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배지연 전주고용센터소장 등 도내 일자리 유관기관 대표 21명과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거버넌스의 실행력 강화와 협업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전북특별자치도 일자리 거버넌스’는 지난해 9월 출범한 산·학·연·관 협의체로, 지역 산업 구조와 고용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일자리정책을 발굴하고, 유관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대표협의회에서는 기존 22개 참여기관에 새만금개발청과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본부가 새롭게 합류하면서 협의체가 총 24개 기관으로 확대됐다. 특히 두 기관은 지역 산업 특화 일자리정책의 실행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회의는 일자리 거버넌스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전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