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알림방

[공모]전북연구원, 제9회‘인구정책 분야’도민 공모

도민 체감형, 정책과제 공모

전북연구원(원장 권혁남)이 도정발전을 위한 도민의 지혜를 모은다.

 

전북연구원은 도민 밀착형 정책개발을 위해 제9회 ‘열린 연구, 좋은 연구’ 도민 공모를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전북연구원은 ‘도민과 함께 하는 연구원’을 모토로 도민이 연구과제 발굴에 참여할 수 있는 도민 공모를 연 2회 시행하고 있다.

 

이번 공모에서는 지방소멸 위기대응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과제 제안 분야를 인구정책 분야로 특정하여 공모를 진행한다.

이번 공모는 도정에 관심 있는 도민이면 개인 또는 공동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신청자는 전북연구원 홈페이지 참여마당-도민공모 게시판에서 연구과제 아이디어 제안서를 내려 받아 2월7일부터 3월 11일까지 이메일 idea@jthink.kr로 접수할 수 있다. 이번 공모를 통해 인구 감소대응을 위한 전라북도 인구관련 정책을 도민과 함께 수립하고자 한다.

 

권혁남 원장은“지방소멸 위기대응을 위한 전북형 인구정책 수립을 위해 도민들의 적극인 참여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응모된 모든 연구과제는 창의성, 활용성 등을 기준으로 전문가와 내부 연구진 의견을 종합하여 선정되며, 심사결과는 4월중 전북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다.

 

심사결과 우수 연구과제는 최우수, 우수, 장려상으로 시상되며, 선정된 연구과제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 제안자와 전북연구원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전북연구원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전북연구원 연구기획부(063-280-7143)로 문의하면 된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특별법 특례로 ‘어업잠수사’ 활용 수산자원 포획 전국최초 시범시행
전북특별자치도가 전국 최초로 ‘어업잠수사’를 활용한 마을어장 수산자원 포획·채취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어업인들이 수년간 제기해온 현장 수요를 제도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전북특별법’에 따른 특례 적용을 통해 실현된 사례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난 3월부터 군산‧부안 해역을 중심으로 시행 중이며, 어업잠수사를 투입해 새로운 포획 방식의 효과성과 경제성을 검증하고 있다. 정착성 수산동물인 해삼, 전복 등은 바닥이나 암반에 붙어 있어 채취를 위해 잠수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수산업법상 포획은 해녀(나잠)나 잠수기 어선을 통해서만 가능해 인력 확보가 어렵고 임차 비용이 과도한 실정이었다. 이로 인해 어촌계에서는 마을어장 운영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지속돼 왔다. 전북자치도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2011년부터 해양수산부에 관련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으며, 2016년과 2017년에는 스킨스쿠버를 활용한 시험어업도 시행한 바 있다. 이후 2023년 「전북특별법」 제87조(수산종자산업 및 수산업 육성 특례)에 어업잠수사 활용 근거를 마련했고, 2024년에는 『전북특별자치도 시험어업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시행하여 도지사 승인만으로도 시험어업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