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무주뉴스

무주군, 마늘 · 양파 생육재생기 병해충 감염 관리 총력

 

무주군은 월동 후 마늘 · 양파 작목에 대한 생육재생기를 맞아 병해충 감염 등 관리에 총력을 쏟고 있다.

 

생육재생기는 겨울동안 생장을 멈추었던 마늘과 양파가 다시 자라기 시작하는 시기로 무주군에서 재배되고 있는 마늘 · 양파도 월동 후 생육재생기로 지역에 따라 10cm이상 잎줄기가 자라나고 있는 상황이다.

 

무주군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마늘 · 양파의 잎이 2~3매 가량이 되고 잎줄기가 10cm 정도로 신장하게 되면 보온재 밖으로 잎을 꺼내는 유인작업을 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주 기온이 많이 오른 뒤 주말 비 소식 이후 기온이 갑작스럽게 내려갈 가능성이 있어 아직 유인작업을 하지 않은 농가는 기상상황을 살펴 유인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는 것.

 

웃거름은 식물체 뿌리가 양 ·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최저온도 4℃가 되는 시기에 맞추어 주는 것이 좋다. 관행적으로 2회 나누어 시비해오고 있으나 3회 분시하면 5.8%가량 수량이 증대되고 저장 중 손실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오기 2~3일 전 웃거름을 주면 식물체가 비온 뒤 수분을 흡수하면서 양분을 같이 흡수하게 되어 시비효과가 증대된다.

마늘 · 양파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잎마름병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 잎마름병은 곰팡이병으로 월동기 이후 오래된 잎이나 상처받은 잎을 통해 감염되며 수확기까지 피해를 끼친다. 증상은 잎이 마르고 시간이 지날수록 검정색 포자덩어리를 형성하게 된다.

 

방제 방법으로는 잎마름병 방제용 살균제를 사용 적기 및 안전사용시기에 맞춰 정량을 살포하며 수시로 살펴 감염된 식물체 등 잔재물을 포장에서 제거해야 한다.

 

무주군농업기술센터 기술연구과 소득작목팀 강혜경 팀장은 “마늘 · 양파는 생육재생기에 피해를 입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농가에서는 병해충 및 생육장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달라”라고 당부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교육청, 다문화교육 교원 연수 진행
다문화학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교원의 다문화교육 전문성 제고에 나섰다. 전북교육청은 지난 30일과 1일 한국전통문화의전당 공연장에서 ‘2025학년도 다문화교육 교원 역량 강화 연수’를 개최했다. 이 연수는 다문화학생의 언어와 문화 적응을 돕고, 현장 교원의 전문성과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내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원)장과 다문화 업무 담당 교원 400여 명이 참여했다. 강사로는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김준겸 교수와 독일 출신 인문학자 안톤 숄츠가 참여해 큰 관심을 모았다. 김준겸 교수는 ‘다문화교육과 학교 교육 현장의 역할’을 주제로 이주배경학생의 정체성과 문화 적응 과정을 사례 중심으로 소개했다. 또한 해외의 다문화교육 사례를 한국의 현실과 비교해 설명하며, 포용적 교육 실천을 위한 교원의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했다. 안톤 숄츠는 독일 공영방송 ARD에서의 언론 활동과 한국에서의 20여 년간의 체류 경험을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에서의 인식 전환과 공존의 가치를 전달했다. 김지유 민주시민교육과장은 “다문화가정 학생이 소외되지 않고 학교 안에서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교사의 이해와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우리 교육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