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2021년도 산림분야 녹색일자리 1,764명 고용

공공산림가꾸기, 산불감시원 등 5개 분야 261억 원 예산 확보

지역주민에 안정된 일자리 제공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전북도가 올해 산림분야 녹색일자리사업에 261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1,764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연간 고용으로 환산 시, 23만 8천개의 일자리 규모다.

 

전북도는 12일 공공산림가꾸기 등 5개 분야의 녹색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숲가꾸기 산물수집과 산림 민원의 신속한 해결을 위한 공공산림가꾸기 분야에는 37억 원을 확보하고 148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들은 주로, 나무를 벌채한 후 원목을 제외한 가지나 줄기 등의 산림바이오매스를 수집하거나, 도내 산림자원을 조사하는 업무를 하게 된다.

 

산림바이오매스수집단 60명, 숲가꾸기자원조사단 27명, 숲가꾸기패트롤 61명을 모집할 예정이다.

 

도내 숲해설과 체험교육, 숲길 등의 안내와 수목이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산림서비스도우미 분야도 89명을 모집한다.

 

숲생태관리인(7명), 숲길등산지도사(10명), 수목원코디네이터(4명), 도시녹지관리원(14명), 명상숲코디네이터(4명), 녹색일자리확충(18명)과 함께, 산림복지전문업체에 위탁하는 숲해설가(10명)와 유아숲지도사(22명)도 고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상이변에 따른 산림재해에 적극 대응해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림재해분야에는 가장 많은 1,512명을 고용한다. 연 204억 원의 녹색일자리 예산이 투입된다.

 

산불전문진화대 700명, 산불감시원 700명,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 44명, 산사태현장예방단 68명을 고용해 산림재해에 대한 예방과 초기 대응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이 외에도, 산촌생태마을에 조성된 시설물 관리와 마을홍보 등 산촌생태마을 운영매니저(10명), 조성된 도시숲 및 공립정원 정비로 경관 개선 등을 위해 시민정원사와 취약계층을 연계한 도시숲정원관리인(5명)의 일자리도 마련한다.

 

산림분야 일자리는 상반기에 각 시․군별 홈페이지 공고를 통해 분야별로 선발할 예정이며, 신청은 신청 지자체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주민을 대상으로 하며, 취업 취약계층을 우선선발할 예정이다.

 

박성호 전라북도 산림녹지과장은“산림일자리 사업으로 지역주민에게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며, “산림을 가꾸고 보호하며 활용하는 산림분야 일자리 사업에 많은 관심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국회의원-도-시군, 예산정책협의회서 전북발전 한목소리
지역 정치권과 지방정부가 2026년도 국가예산 최대 확보 및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는 공동 대응체계를 본격 가동했다. 국회와 도정, 시군 행정이 원팀을 이뤄 전북 대전환의 시기를 예산으로 실현하겠다는 전략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1일 도청에서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한 지역 국회의원, 14개 시장·군수가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2026년 국가예산 확보 및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기획재정부의 2차 예산심의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 전략과 예산 반영이 필요한 쟁점사업에 대한 설명이 중점 논의됐다. 전북자치도는 기재부가 미온적이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주요 사업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했으며, 예산 반영을 위한 국회의원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전북자치도와 14개 시군이 건의한 50건의 주요 사업은 지역 균형발전과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할 핵심 과제다. AI 신뢰성 혁신 허브센터 구축, 펫푸드 소재 산업화 플랫폼 구축, 수소상용차 전용 안전검사센터 구축사업 등은 지역의 백년대계를 책임질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사업이다. 전주교도소 이전 계획과 맞물려 추진하고자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