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28일 남원시공공산후조리원 개원식을 열고 지역 간 산후조리 격차 해소의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날 행사에는 지역국회의원, 도의원, 남원시장, 시의회의장, 보건의료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전북 동부권(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공공산후관리 인프라 구축의 시작을 축하했다.
이번 시설 개원은 도내 산후조리 취약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간 보건 격차를 줄이기 위한 민선 8기 핵심 공약 사업으로, 실질적인 출산·양육 여건 개선에 큰 의미를 담고 있다. 12월부터 정식 운영된다.
남원시 고죽동에 들어선 이 시설은 총사업비 132억 원(지방소멸대응기금 도 35억, 시 83억, 시비 14억)을 투입해 연면적 2,410㎡,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로 조성됐다.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의료원이 운영을 맡아 △모자동실 13실 △신생아실 △프로그램실 △상담실 △맘카페 △마사지실 등 산모의 빠른 회복과 전문적인 신생아 케어를 위한 편의·의료시설을 완비하고, 보건의료의 공공성을 강화했다.
남원시공공산후조리원은 전북 동부권 거점시설로 건립되었지만 도내 산모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그동안 전주·군산 등 타 지역으로 산후조리를 떠나야 했던 산모들의 시간적·경제적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이용 요금은 2주 기준 180만 원이며, 지역 산모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감면 혜택도 마련했다. 이러한 지역 맞춤형 요금 정책은 공공성 강화와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 거주 산모 30% 감면, 남원시 거주 산모 50% 감면, 국가유공자·장애인 등 취약계층 70% 감면, 지리산권 산모 및 남원 시민 자녀(배우자 포함) 10% 감면
김정 전북자치도 건강증진과장은 “남원시 공공산후조리원 개원은 출산·양육 환경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동부권 부모들이 안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전북 어디서나 균등한 출산·보건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권역별 산후관리 인프라를 계속 확대하고, ‘아이 낳기 좋은 전북, 부모가 행복한 전북’을 실현하기 위해 도와 시·군, 의료기관이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