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무주뉴스

조선왕조실록 봉안행렬 및 봉안식 재현 된다!

- 조선왕조실록의 적상사 사고 봉안행렬 및 봉안식 재현과 기록화사업

- 2백여 명 투입해 무주읍 일원에서 재현 예정

- 영상물로도 제작해 홍보 기대

 

 

 

무주군은 무주문화원이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원연합회가 추진한 2019년 지방문화원 원천콘텐츠 발굴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돼 1억 1천 8백여만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원천콘텐츠 발굴 사업은 지역유산 기록과 지역문화 데이터 활용, 지역관광연계 사업 등 지역만의 고유한 원천 콘텐츠 확보를 지원하는 것으로 무주문화원은 ‘조선왕조실록의 적상산 사고 봉안행렬 및 봉안식 재현과 기록화 사업’이라는 주제로 주목을 받았다.

 

‘조선왕조실록의 적상산 사고 봉안행렬 및 봉안식 재현과 기록화 사업’은 조선왕조실록과 적상산사고에 관한 것으로,

 

조선왕조실록 행렬을 무주관아에서 마중 나가는 모습과 조선왕조실록을 적상산사고에 봉안하기 전 무주관아에 잠시 보관하기 위해 진행했던 보관식을 재현하는 내용이다.

 

무주문화원에서는 2백여 명의 인원이 참여하는 봉안행렬(조선왕조실록을 적상산사고로 이동)과 봉안식을 무주읍 일원에서 진행할 예정으로 이 과정을 촬영하고 설명을 담은 영상물도 제작해 공유할 계획이다.

 

무주문화원 맹갑상 원장은 “봉안행렬의 장엄하고 화려한 모습을 재현함으로써 역사를 품고 있는 무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조선왕조실록과 사고의 고장이라는 사실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고증을 통해 봉안행렬의 의미와 과정을 되살리는데 주력하는 한편, 봉안행렬에 담긴 축제성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북한 묘향산에서 무주 적상산으로,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쳐 다시 북한으로 넘어간 조선왕조실록 적상산 사고본이 북한과의 민간교류 협력 기반도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무주군의 적상산사고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는 국보 제151호 조선왕조실록과 왕실족보인 선원록 등 5,541권이 약 300년 간 보관돼 있던 곳(사고지유구는 1992년 무주양수발전소 상부댐 건설로 수몰)으로,

 

복원된 사고(사고지유구 위 기슭으로 이전 · 복원_1995년 전라북도 시도기념물 제88호 지정)에는 현재 조선왕조실록과 선원록 복본 39권이 제작, 전시돼 있으며 전시패널과 디오라마 등 총 22종의 전시물들이 설치돼 역사문화교육 현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긴급차량우선신호제어시스템 “병원 이송 4분 37초 단축!”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본부장 이오숙)는 올해 상반기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 운영 결과, 병원이송 시간이 평균 4분 37초가 단축되어 약 33%의 골든타임 확보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긴급차량의 특성을 반영해, 시간대별 교통량 차이를 고려한 인근 시간대의 시스템 미활용 출동사례를 표본으로 삼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단순한 내비게이션 거리나 일반 차량 기준 소요시간이 아니라, 최근 3년간 동일(또는 인근) 지점에서 동일 병원으로 이송된 출동 기록과의 정밀 분석을 통해 실효성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실제 사례를 통해서도 효과가 확인됐다. 지난 6월 18일 17시 38분경, 10개월 된 아이의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쇼크’ 신고에 따라 출동한 구급대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을 활용해 현장(만성동)에서 예수병원까지 8.6km 구간을 10분 만에 도착했으며, 이는 골든타임 단축 효과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전북소방은 전주시와 군산시의 행정적 지원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중 해당 소방서의 구급차, 지휘차, 구조공작차에 시스템 운영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하반기에는 익산시와 정읍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