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25일 전북교육인권센터에서 학생맞춤통합지원 업무 담당자 협의회를 열고, 2026년 전면 시행되는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의 안정적 정착 방안을 논의했다.
학생맞춤통합지원 정책은 복합적 어려움을 가진 위기 학생을 조기 발견·통합 지원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해 학생 상황에 따른 맞춤형 통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년 3월 1일 학생맞춤통합지원법이 전면 시행된다.
학생 한 명의 복합적인 문제를 단일 사업이나 부서가 아닌 학교 전체와 지역사회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재구조화 정책으로, 모든 교직원이 협력해 지원할 때 가장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날 협의회는 학교·교육지원청·지역사회가 협력해 위기학생을 조기에 발견,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체계 강화를 위해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업무담당자가 함께 모여 실행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협의회에서는 △2026년 학생맞춤통합지원 추진 방향 △교육지원청 학생맞춤통합지원센터·위원회 구성(안) △ 2026년 예산 운영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현장에서 제기되는 의견을 수렴하고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질의응답과 토론 시간도 이어졌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전북교육청은 교육부 선도학교 25교, 7개 시범교육지원청 운영, 교육감 지정 연구학교 1교 운영을 통해 적용 모델을 마련하고, 교장·교감·행정실장 대상 역량 강화 연수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학생 지원 체계의 현장 안착을 준비해왔다.
오선화 미래교육과장은 “내년 3월 1일부터 시행되는 학생맞춤통합지원법이 학교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교육 청과 교육지원청이 적극 협력해 실행력 있는 전략을 준비하겠다”며 “모든 학생이 학업·정서·건강·복지 영역에서 끊김없는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전북형 학생맞춤통합지원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