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무주뉴스

지난 해 607세대가 무주에 새 보금자리 틀었다

무주군 귀농 1번지 ‘체재형 가족실습농장’

공동실습경작지에 참외 심어

- 영농 재배기술 교육의 일환

- 고구마, 비트, 토마토 등도 공동 경작 예정

- 체재형 가족실습농장, 살면서 농사 배우는 기회의 장으로 인기

 

2020년도 무주군 체재형 가족실습농장(안성면 소재) 교육생 10세대 15명이 지난 26일 체재형 가족실습농장 공동 경작지에 참외를 심었다고 밝혔다.

 

올해 교육과정(5개 분야, 42회, 156시간)은 △귀농 · 귀촌 기본 소양을 비롯해 △농업기초 경영 · 경제(영농회계, 정착 시 귀농인 세금혜택), △영농 재배기술(표고버섯, 과채류 위주), △선도농가 견학 및 현장, △농업 · 농촌 활용심화 등으로 진행될 예정으로, 이날 참외 식재는 영농 재배기술 교육의 일환을 진행됐다.

 

무주군에 따르면 참외 외에도 감자와 옥수수는 이미 실습교육을 마쳤으며 앞으로는 비트와 고구마, 배추, 무 등을 공동으로 심을 예정이다. 표고버섯과 토마토, 딸기 등 3개 품목은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한다.

 

교육생들은 “이론으로 배우는 게 우선 뒷받침돼야겠지만 농사를 지으며 재배기술을 배우는 ‘공동경작지 및 시설하우스 운영 프로그램’이 사뭇 기대가 된다”라며

 

“재배의 기쁨과 수확의 보람이 귀농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고 무주에서의 정착을 현실화시키는 동력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입을 모았다.

 

 

무주군 체재형 가족실습농장(2,506㎡ 규모)은 무주로의 귀농을 유도하고 영농 성공률을 높여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다는 취지에서 무주군이 지난 2017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곳으로, 생활동과 공동경작지, 시설하우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지금까지 참여 교육생 21세대 중 12세대가 무주군에 정착하는 성과를 올렸다.

 

무주군농업기술센터 농업지원과 귀농 · 귀촌팀 강혜경 팀장은 “2013년 이후 무주로 귀농 · 귀촌한 세대 수는 2,886세대로 지난 해에만 607세대가 무주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틀었다”라며

 

“귀농 · 귀촌세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봤을 때 1년 간 직접 살며 귀농 · 귀촌을 준비하는 체재형 가족실습 농장이야말로 실패를 줄여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 기회의 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무주군은 귀농 · 귀촌인 유입 및 정착을 돕기 위해 연간 5억 1천여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현재 △체재형 가족실습농장과 △귀농 · 귀촌 게스트하우스, △농촌생활 실용교육장 운영을 비롯해 △고령 은퇴 도시민 영농 및 생활지원, △농업창업 지원, △귀농 · 귀촌 건축설계비 지원 등의 귀농 · 귀촌 관련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제2기 전북특별자치도 도민고충처리위원회 출범
전북특별자치도는 도민의 고충 해결과 다양한 이해집단 간 갈등 조정을 위한 ‘제2기 전북특별자치도 도민고충처리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고 29일 밝혔다. 도는 이날 전북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위촉식을 열고 학계·법조계·기술·행정 등 각 분야 전문가 9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위원 임기는 2025년 8월부터 2029년 8월까지 4년이며, 위원장은 위원들의 호선으로 장대석 위원이 선출됐다. 위원회는 고충민원을 심의하고 ▲시정권고 ▲의견표명 ▲제도개선 권고 등을 의결해 불합리한 행정제도로 인한 불편을 겪는 도민의 기본적 권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맡는다. 행정의 위법·부당하거나 소극적 처분으로 피해를 본 도민은 전북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063-280-2066)를 통해 위원회에 고충민원을 신청할 수 있다. 앞서 2021년 출범한 제1기 위원회는 4년간 14차례 회의를 열어 총 24건의 고충민원을 심의·의결했다. 주요 사례로는 ▲공공용으로 무단 점유된 사유지 보상 방안 마련 시정권고 ▲현황도로의 도로대장 등재 및 공공시설 귀속 방안 의견표명 등이 있다. 위원회는 다양한 행정처분에 대해 사실관계를 조사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도민 권익 보호의 든든한 대변인 역할을 해왔다. 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