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은 5일 진안 문화의 집 마이홀에서 「진안 원평지 들소리 가치규명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가유산청 2025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사업에 선정돼 추진 중인 ‘진안 원평지 들소리 및 농요 가치발굴 연구용역’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진안 마령면 원평지 마을의 전통 농요인 들소리의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조명하고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지정 신청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진안 원평지 들소리는 마령면 원평지마을의 오길현 외 원평지 들소리 보존회를 중심으로 논매는 소리 8곡이 보존 및 전승되고 있으며, 지역 농경문화와 생활사를 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가치 규명을 위해 이번 학술대회가 마련된 것이다.
학술대회는 조영배 교수가 사회를 맡아 총 4개 주제발표와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주제 1은 강릉원주대학교 강등학 명예교수의 한국 농요의 전국적인 판도와 전북민요를 ▲주제 2는 경인교육대학교 김혜정 교수의 원평지 들소리의 음악적 양상과 특성으로 본 무형유산적 가치를 발표했다. ▲주제 3은 동국대학교 손인애 교수의 원평지 들소리에 나타나는 전파·전이 양상과 민요학적 의미를 ▲주제 4는 (전)전북대학교 김익두 교수가 전북민요의 전반적 성격과 진안 마령 원평지 들소리의 무형유산적 가치를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은 전남대학교 이용식 교수가 좌장을 맡아 목포대학교 나승만 명예교수, (전)중앙대학교 송화섭 교수, 손태도 (전) 판소리 학회장, 진안문화원 부원장 이상훈 등 관련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전춘성 진안군수는 “원평지 들소리는 진안의 농경문화와 생활사를 고스란히 담은 소중한 자산”이라며 “이번 학술대회를 계기로 체계적인 연구와 보존을 이어가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지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