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재래식 축사, 정보통신기술 융합 스마트축사로 전환

스마트 축산 활성화에 ‘총력’

▶12월 스마트 축산 모델 실증화 사업 추진…스마트 축산 활성화 기대

전북도가 노후화된 축산환경을 개선하고 생산력 향상을 위해 기존 시설을 스마트 축사로 전환한다.

전북도는 올해 축사시설 현대화에 379억 원,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사업에 105억 원을 투입하는 스마트 축산화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 스마트 축산화 사업(‘21년)

축사시설현대화 : 379억원(융자 303, 자담 76) * 금리 1~2%, 5년거치 10년 상환

축산분야 ICT융복합 사업 : 105억원(기금 32, 융자 52, 자담 21) * 금리 2%, 3년거치 7년상환

도는 2009년부터 노후화된 축사시설에 약 4,600억 원을 투입해 905개소를 현대화 축사로 탈바꿈했다.

또한, 2015년부터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최적의 사양관리를 위한 ‘지능형 축사 관리시스템’ 구축에 585억 원를 투입해 314개소 축사의 스마트화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축종별 스마트 축산 모델 기준 마련 및 실증화 사업을 통해 스마트 축산 활성화에 한 발 더 다가선다.

전북도는 한국농수산대학, 국립축산과학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민간 IT업체, 농가 등으로 구성된 스마트 축산 전문조직(TF)을 운영한다. 또한 ‘21년까지 양돈, 양계, ’22년까지 한우, 젖소, 오리의 스마트 축산 모델 기준을 마련한다.

오는 12월에는 ‘22년 양돈분야 스마트 축산 모델화 시범사업 을 추진해 스마트 축산 활성화 발판도 마련한다.

시범사업은 기존 축사시설 현대화, 축산분야 ICT 융복합 사업 등 꾸러미 지원을 통해 스마트 축산 표준 모델을 실증할 계획이다.

* 전문조직 구성 : 한국농수산대학, 국립축산과학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가, 민간 IT업체 등

** 스마트 축산 모델 구축 : ’22) 양돈 → ‘23) 양계 → ’25) 한우, 젖소, 오리

 

신원식 전북도 농축산식품국장은“스마트 축산으로의 전환은 생산성 향상 뿐만 아니라 축산환경 개선으로 지역 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기반”임을 강조하며,

“축산농가의 스마트화 자율적 참여를 당부하며 도에서도 축산현장에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도, 전북은행과 함께 치매어르신 실종예방 배회감지기 1,000대 보급
손목 위 작은 기기가 치매 어르신과 가족의 큰 안심이 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8일 도청에서 전북은행이 배회감지기 1,000대 보급을 위해 총 3억5천만 원을 기탁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백종일 전북은행장, 오현권 부행장, 대한적십자사 전북지사 김한규 사무처장이 참석해 나눔의 뜻을 함께했다. 전북은행은 2023년 400대(1억1,800만 원), 2024년 625대(2억 원)를 기탁한 데 이어 올해까지 3년 연속 배회감지기 보급을 후원하며 도내 치매어르신 실종예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누적 기탁량은 2,000여 대 이상으로, 대한적십자사가 직접 구매·배포 및 사후관리를 맡아 실종 위험이 있는 도내 치매 어르신과 인지저하자들에게 순차 지원될 예정이며, 올해는 스마트태그를 추가 도입해 요양시설 및 발달장애인 시설까지 지원 범위를 넓혔다. 손목시계형 배회감지기는 GPS 기능이 탑재돼 보호자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해 가족들의 불안감을 덜어준다. 아울러, 도는 실종노인 예방과 조기 귀가를 돕기 위해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사업(13,019건) △지문·사진·보호자 연락처를 경찰청 시스템에 사전 등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