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한 한우 개량사업이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전국 평가에서 최고 성과를 거두었다고 1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한우 암소 14만두를 대상으로 유전체 유전능력을 평가해 우수 개체 3천두를 선발하였으며, 이 가운데 전북도에서만 750두가 선정돼 전국 최다 실적을 기록했다.
전북도는 2023년부터 「전북특별법」에 근거해 축산연구소를 한우 개량 전담기관으로 지정하고, 유전체 분석과 컨설팅 지원, 친자확인 검사, 혈통등록, 저능력 암소 도태 장려금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쳐왔다. 올해에만 56억 원을 투입했으며, 특히 축산연구소는 전국 시·도 연구소 가운데 가장 많은 20두의 우수 암소를 확보해 연구 경쟁력도 입증했다.
도는 2023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지난해부터는 연간 3만두 규모의 유전체 분석을 본격 도입했다. 또 농가 맞춤형 컨설팅을 병행해 농가 스스로 우수 암소를 선발·관리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이번에 뽑힌 우수 암소를 보유한 농가에는 인기가 높은 정액이 우선 배정돼 고능력 송아지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는 개량 속도를 높여 사육 효율성을 키우고 농가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도는 앞으로 유전체 분석을 활용한 자발적 개량을 확대해 사육비 절감과 온실가스 저감 성과까지 동시에 확보, ‘탄소중립 축산’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민선식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전국 최대 규모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우수 암소와 정액 확보에서 전국 최고의 성과를 달성했다”며,“앞으로도 과학적 분석을 통한 한우 개량정책을 추진해 농가 소득 증대와 탄소중립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