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시선I

[신년사] 무실역행(務實力行)의 자세를 모든 행정의 근본으로 두고자 합니다.

 

새로운 희망과 기대를 품은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 무주군은 내용과 실질을 중시하며 실천의 의지로 힘써 행하는 무실역행(務實力行)의 자세를 모든 행정의 근본으로 두고자 합니다.

 

그동안 이뤄낸 성과들을 바탕으로 군민이 체감하는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인구'와 '기후변화'에 주목할 것입니다. 총인구와 생산연령인구의 감소,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가 사회·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뭄과 폭염, 폭우, 한파와 폭설 등 이상기후 현상의 심각성이 일상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실역행'의 자세로 '공존의 터전, 끊임없는 도전으로 희망을 새기는 2025년'을 만들어 가야 하는 이유입니다.

 

우선, 지역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주거와 에너지, 교육, 문화, 먹는 물과 교통 등의 사회서비스 접근성을 강화하고 서민경제 활력을 제고해 나가겠습니다. 이를 위해 소상공인을 지역경제 버팀목으로 육성하고 지역 내 소비 촉진과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될 관광 생활인구 증대에 더욱 집중할 것입니다. '반딧불이'와 '태권도'등 무주만의 관광 콘텐츠로 상품화한 일상 속 자원은 야간관광 활성화와 체류시간의 증가, 재방문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무주경제의 한 축인 '농업'분야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스마트 시설 확대와 기술 지원 등으로 기후변화 적응을 도울 것입니다. 이는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이기도 합니다. 인구이동과 유입의 결정요인은 주거와 생활 여건 등 다양하지만 '일자리'가 절대적입니다. 지방소멸 위기에 처한 무주의 미래를 살리기 위해 청년과 아이들을 위한 정책 마련과 사업 추진에 힘을 쏟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안전한 무주를 만들 것입니다. 이상기후로 인한 재해의 빈도와 강도가 심해지는 만큼, 취약계층의 삶을 보듬는 기후복지에도 심혈을 기울일 것입니다.

 

행정은 주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군민의 삶을 헤아리고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공감 행정을 펼쳐나가는 데 올해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군민과 가까이서 소통하며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무주군의 묵묵한 여정을 응원해 주시길 바라며 '재기와 희망'을 상징하는 '푸른 뱀의 해' 더욱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고맙습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최근 5년간 두 배 이상 증가…도민 주의 당부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본부장 이오숙)는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도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무엇보다 화재 시 가장 중요한 탈출로인 현관과 출입구에서는 충전을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이곳에서 불이 나면 대피 통로가 차단돼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거실이나 베란다처럼 출입구와 분리된 공간에서 충전하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한 후에는 즉시 충전기를 분리해야 한다. 과충전 상태가 지속되면 내부 열이 쌓여 폭발 위험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충전기 주변의 종이상자, 커튼, 의류 등 가연성 물질을 치우는 것도 필수다. 작은 불꽃이 발생하더라도 이런 물건들이 근처에 있으면 순식간에 큰 화재로 번질 수 있다. 정품 충전기를 사용해 전압 불안정을 막는 것도 중요하며, 배터리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교체해야 한다. 충전 중에는 자리를 오래 비우지 않는 습관이 필요하고,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의 보관과 충전 역시 피해야 한다. 실제 지난 1월 완주의 한 아파트에서는 현관에서 전동킥보드를 충전하던 중 배터리가 폭발하며 불이 났다. 아파트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