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무주뉴스

조선왕조실록 납시오!

무주군서 적상산 사고(史庫)실록 봉안행렬 및 봉안식 재연


- 무주관아 실록 보관식 등 다채롭게 진행

- 행렬 인원 만 150여 명 대규모 행사

- 역사 고증, 전통문화유산 계승 · 발전 기대

 

무주군 적상산 사고(史庫)실록 봉안행렬 및 봉안식 재연행사가 지난 2일 무주군청과 전통테마파크 일원에서 대대적으로 진행돼 눈길을 끌었다.

 

무주문화원이 주관한 이날 행사는 소중한 전통문화를 계승 · 발전시키고 세계문화유산인 적상산 사고(史庫)실록 봉안행렬과 봉안식을 기록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으로,

 

오후 3시부터 무주관아 실록 보관식(적상산 사고에 봉안하기 전 무주관아에 보관하는 절차 재연)과 적상산사고 실록 봉안식(적상산 사고 실록 안치 및 고유제 재연), 적상산 사고 봉안행렬(실록 환영행렬, 실록궤 행렬, 실록봉안 행렬로 구성된 적상산 사고 봉안행렬 재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황인홍 무주군수와 유송열 무주군의회 의장, 맹갑상 무주문화원 원장 등 의관 및 장비 등을 모두 갖춘 행렬 인원만 150여 명이 투입됐으며 무주군민들을 비롯한 방문객 등 1천여 명이 행렬을 지켜봤다.

 

관광객 이 모 씨(52세, 서울)는 “단풍놀이 왔다가 정말 귀한 구경을 하고 간다”라면서 “조선왕조실록이 무주에 보관이 됐었다는 사실도, 그 발자취가 아직 남아 있다는 사실도 너무 놀라워서 온 김에 적상산 사고지도 꼭 다녀갈 생각”이라고 전했다.

 

무주문화원 관계자는 “오늘 재연행사는 영상으로도 모두 기록을 했다”라며 “사료를 고증하는 기반이 되는 동시에 적상산 사고(史庫) 실록 봉안행렬을 무주만의 특화된 전통문화유산으로 계승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적상산 사고(史庫)실록 봉안행렬 및 봉안식 재연행사는 무주문화원이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원연합회가 추진한 2019년 지방문화원 원천콘텐츠 발굴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1억 1천 8백여만 원의 예산 확보)되면서 진행하게 된 것으로,

 

무주문화원에서는 봉안행렬(조선왕조실록을 적상산사고로 이동)과 봉안식 과정을 촬영하고 설명을 담은 영상물도 제작해 공유할 계획이다.

 

한편, 무주군의 적상산사고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는 국보 제151호 조선왕조실록과 왕실족보인 선원록 등 5,541권이 약 300년 간 보관돼 있던 곳(사고지유구는 1992년 무주양수발전소 상부댐 건설로 수몰)으로,

 

복원된 사고(사고지유구 위 기슭으로 이전 · 복원_1995년 전라북도 기념물 제88호 지정)에는 현재 조선왕조실록과 선원록 복본 39권이 제작, 전시돼 있으며 전시패널과 디오라마 등 총 22종의 전시물들이 설치돼 역사문화교육 현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긴급차량우선신호제어시스템 “병원 이송 4분 37초 단축!”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본부장 이오숙)는 올해 상반기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 운영 결과, 병원이송 시간이 평균 4분 37초가 단축되어 약 33%의 골든타임 확보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긴급차량의 특성을 반영해, 시간대별 교통량 차이를 고려한 인근 시간대의 시스템 미활용 출동사례를 표본으로 삼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단순한 내비게이션 거리나 일반 차량 기준 소요시간이 아니라, 최근 3년간 동일(또는 인근) 지점에서 동일 병원으로 이송된 출동 기록과의 정밀 분석을 통해 실효성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실제 사례를 통해서도 효과가 확인됐다. 지난 6월 18일 17시 38분경, 10개월 된 아이의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쇼크’ 신고에 따라 출동한 구급대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시스템을 활용해 현장(만성동)에서 예수병원까지 8.6km 구간을 10분 만에 도착했으며, 이는 골든타임 단축 효과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전북소방은 전주시와 군산시의 행정적 지원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중 해당 소방서의 구급차, 지휘차, 구조공작차에 시스템 운영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하반기에는 익산시와 정읍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