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군 성현석성은 신라시대 석축산성으로, 전략적 요충지였다"

2025.11.11 15:38:01

삼국시대부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확인


- 성현석성, 신라의 축성법인 협축식 공법과 수평 줄쌓기 방식으로 축조

- ‘석축산성’ 확인, 무산성 실체 접근의 전환점 마련

- 전북 동부 삼국시대 각축사 연구 기초자료 확보

 

무주군은 최근 무풍면 현내리 산 26번지 일원에 위치한 ‘성현석성’의 시굴 조사를 통해 서쪽 성벽의 실체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평탄지에서 건물지로 추정되는 구조를 발견하는 등 고고학적 성과를 거뒀다.

 

무주군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국가유산청의 허가를 받아 국립군산대학교 박박물관 발굴조사팀이 진행했으며, △성벽 구조 파악과 △국가 및 도 지정 문화유산 지정, △역사문화권 보존·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모았다.

 

‘성현석성’은 성뫼산(해발 558m) 정상부를 한 바퀴 두른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둘레는 약 557m에 달한다. 성벽은 내측과 외측을 모두 쌓은 협축식 공법으로 축조했으며, 장방형 석재를 수평 줄쌓기 방식으로 사용한 특징이 있다.

 

이는 6세기 이후 신라 산성의 축성법으로, 이번 조사에서는 외측 성벽의 보축 시설과 다수의 신라 토기 편이 발견돼 ‘성현석성’이 신라의 ‘석축산성’임이 확인됐다.

 

‘성현석성’이 위치한 무주군 무풍면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신라의 무산현(茂山峴)으로 기록돼 있으며, 647년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였던 ‘무산성 전투’의 역사적 무대로 주목받아 왔다.

 

무풍면의 동쪽을 휘감은 백두대간의 고갯길인 부항령과 덕산재는 백제와 신라를 이어주던 가교이자 접경지로서, 전략상 요충지였다.

이를 반영하듯 무풍면 일대에는 ‘성현석성’ 외에도 철목리·현내리 고분군 등 삼국시대 유적이 밀집돼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무산성’의 실체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가능하게 했을 뿐 아니라, 가야 멸망 이후 전북 동부지역에서 벌어진 백제와 신라의 각축 양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전망이다.

 

황인홍 무주군수는 “이번 조사를 통해 무주가 삼국시대부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음을 확인했다”라며 “무엇보다 ‘성현석성’이 ”삼국사기“에 기록된 ‘무산성’일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 등은 우리 지역의 역사적 위상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무주군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발굴과 보존 정비를 추진해, ‘성현석성’이 지역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무진장뉴스i byw@mjjnews.net
저작권자 © 무진장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무진장인터넷뉴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대괭이길 40-36 등록번호 : 아00521 | 발행일 : 2019-01-03 | 발행인 : 한영희 | 편집인 : 한영희 | 전화번호 : 063-247-4365 | FAX : 063-433-1779 Copyright ©2019 mjj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