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종합

고시히카리,추청 대체할 우리벼품종 해들,알찬미 개발성공!

- ‘해들’·‘알찬미’,‘임금님표이천쌀’원료곡 ‘고시히카리’, ‘추청’ 완전 대체 -


수요자 참여형 품종개발연구(SPP), 외래 벼 대체 성과 거둬

농촌진흥청이 외래 벼 품종을 우수한 우리 품종으로 대체하기 위해 추진한 ‘수요자 참여형 품종 개발 연구(SPP)’*가 최근 경기도 이천시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 SPP(Stakeholder Participatory Program): 육종가, 농업인, 지역농협, 소비자 등이 참여해 품종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현장 중심 연구

 

농촌진흥청은 2024년까지 외래 벼 재배를 국내 전체 벼 재배면적의 약 1.5% 수준인 1만 헥타르 이하로 줄인다는 목표로 지역,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과 협력해 우수한 우리 벼 품종을 개발하고 보급, 확대하는 데 힘쓰고 있다. 그 결과 외래 벼 재배면적은 2018년부터 매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RPC: Rice Processing Complex

* 외래 벼 재배면적(ha): 2018년(7만5,706), 2019년(6만5,967), 2020년( 5만7,246), 2021년(5만 96)

 

특히 올해는 경기도 이천에서 생산되는 ‘임금님표이천쌀’의 원료곡으로 쓰이는 ‘고시히카리’와 ‘추청(아끼바레)’을 각각 ‘해들’*과 ‘알찬미’**로 완전히 대체하는 데 성공했다.

* ‘해들’ 재배면적(ha): (2019)131 → (2020)1,020 ※ 2020년 ‘고시히카리’ 완전 대체

** ‘알찬미’ 재배면적(ha): (2019)11 → (2020)952 → (2021)2,945 → (2022)6,050 ※ 2022년 ‘추청’ 완전 대체

 

외래 벼 품종 ‘고시히카리’와 ‘추청’은 병해충에 약하고 잘 쓰러지며 품질이 떨어지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는 이유로 수도권과 중부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기존 외래 벼를 우수한 우리 벼 품종으로 대체해 이천 쌀의 명성을 유지하고 싶다는 지역 요구에 따라 2016년 경기 이천을 시작으로 6개 지자체*와 협력해 수요자 참여형 품종 개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 2016년 경기 이천 → 2018년 충남 아산 → 2020년 경기 김포, 인천 강화 → 2021년 경기 포천, 수원

 

농촌진흥청이 이천시와 공동으로 개발한 ‘해들’과 ‘알찬미’는 재배가 수월하고 밥맛과 품질이 우수한 최고품질 벼 품종이다.

 

‘해들’은 빨리 수확할 수 있는 조생종 벼로 쓰러짐에 강하고 쌀 겉모양(외관)이 우수하며, 밥맛은 최고 수준인 ‘극상’이다.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강하며 이삭싹나기(수발아) 저항성이 있다. 2021년에는 농식품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우수품종’으로 선정됐다.

 

‘알찬미’는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복합내병성 품종으로 밥맛과 품질도 우수하다. 중생종으로 재배 안정성*도 좋아 강한 태풍에도 쓰러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경영성과분석에서 재배안정성이 높아 외래 벼보다 농가소득이 83% 증대된 것으로 나타남

 

‘해들’과 ‘알찬미’는 경기 이천뿐 아니라 충북 진천과 청주 등 외래 벼가 많이 재배되는 지역에 중점적으로 보급돼 올해 약 1만 헥타르에서 재배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20년에 설정한 외래 벼 재배면적 감축목표 4만 7,000헥타르의 21%에 해당한다.

 

농촌진흥청은 이천시와 관계기관 협의체를 구성해 종자 생산·공급 체계 확립, 생산단지 조성, 품종 맞춤형 재배법 개발, 단백질 차등 수매제 도입, 품종별 쌀 포장재 디자인, ‘해들’과 ‘알찬미’ 맞춤형 취사 기능이 적용된 밥솥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2022년 국가보급종으로 선정된 ‘알찬미’ 260톤을 2023년에는 외래 벼가 많이 재배되는 경기와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은 2020년부터 수행해온 김포, 강화지역 수요자 참여형 품종 개발 연구를 통해 경기 북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외래 벼를 우리 품종으로 대체해 나갈 계획이다.

 

수요자 참여형 품종 개발에 참여한 김동리(경기도 이천) 농업인은 “직접 뽑은 ‘해들’과 ‘알찬미’가 우리 지역 대표 벼 품종으로 선정돼 매우 뿌듯하다. 외래 벼 대체 품종을 선택할 때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천남부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석재현(남부RPC) 대표는 “외래 벼를 유통‧판매했을 때와 비교해 ‘해들’과 ‘알찬미’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 불만 건수가 현저히 줄었다. 올해도 농업인과 소비자가 만족하는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중부작물과 고종철 과장은 “외래 벼 재배를 줄이고 국내에서 육성한 최고품질 벼 재배를 확대하기 위해 생산자·지역농협·농협 미곡종합처리장과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구축, 중부지역 수요에 적합한 벼 품종 보급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동영상

더보기



뉴스종합

더보기
전북교육청, 상호존중 조직문화 개선 프로젝트 15차례 운영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갑질 없는 상호존중 조직문화 만들기에 팔을 걷어붙였다. 전북교육청은 청렴 조직문화 활성화를 위한 ‘소통-협력-청렴의 시작, 소·중·한 워크숍’을 12일 정읍교육지원청을 시작으로 6월 19일까지 총 15차례(아래 표 참조)에 걸쳐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소중한 워크숍’은 소통과 협력으로 청렴의 중심에 서서 한마음 되는 변화라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조직 내 문제를 구성원이 직접 발견하고 해결하는 참여형 문화혁신 프로그램이다. 특히 지난해 청렴문화 확산을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 최초로 양성된 청렴 퍼실리테이터 21명이 올해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관별로 5~6명씩 팀을 구성해 총 30명 이내의 인원이 참여하며, 각 팀에는 퍼실리테이터가 1명씩 들어가 구성원들과 소통을 통해 청렴을 촉진하는 실질적 변화를 이끌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공정한 업무처리 △수평적 소통 △상호존중 문화 정착 등이며, 궁극적으로는 ‘갑질을 뿌리 뽑는 조직문화의 전환’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한 직원들과 함께 조직 내 문제를 발굴하고, 실행 가능한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물론 구체적인 실천 로드맵까지 마련해